안녕하세요 제너리스 입니다. 오늘은 고주파리프팅에 관해 알아보려 합니다. 고주파리프팅 종류와 초음파리프팅과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 또한, 리프팅 시술은 어떻게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지, 그리고 그 효과가 어떤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.
고주파 리프팅 종류와 초음파 리프팅 차이
한눈에 요약 • 고주파(RF): 조직의 전기저항으로 열을 발생시켜 콜라겐 재형성을 유도 — 표피/진피 전반 및 얕은 피하지방까지 커버. • 초음파(HIFU): 집속 초음파로 특정 지점(진피 깊층·SMAS 등)에 미세 열응고점을 만들어 타이트닝.
1) 고주파 리프팅의 주요 종류
① 단극성 RF (Monopolar)
비침습넓은 면적
하나의 팁과 원격 전극 간 전류가 흐르며 넓은 부위를 깊게 가열. 피부 전반의 탄력 개선과 타이트닝을 목표로 사용됩니다. 대표 예: 써마지 계열 등.
② 양극성/다극성 RF (Bi/Multi-polar)
비침습균일 가열
여러 전극 사이에서 전류가 순환해 비교적 얕고 균일하게 열을 전달. 국소 타이트닝, 탄력 보강, 부종/순환 관리에 활용됩니다.
③ 프락셔널 마이크로니들 RF (MNRF)
미세침진피정밀
미세침을 진피층에 삽입해 바늘 끝으로 RF 에너지를 전달. 모공·흉터·결 개선과 리프팅을 동시에 노릴 수 있으며, 절연/비절연 니들, 고정/가변 깊이 등으로 세분됩니다.
④ 프락셔널 표면 RF
표피~진피 상부결·잔주름
표피에 미세 열기둥을 형성해 재생을 유도. 결·잔주름·탄력 보완에 사용되며 다른 장비와 병합하기 좋습니다.
2) 초음파 리프팅(HIFU) 개요
비침습집속 열응고점표적 깊이
고강도 집속 초음파로 1.5/3.0/4.5 mm 등 특정 깊이에 작은 열응고점을 만들어 지지층(진피 깊층, SMAS 등)을 수축시켜 리프팅합니다. 대표 예: 울쎄라, 슈링크, 더블로 등의 HIFU 계열.
3) 고주파 vs 초음파 — 핵심 비교
구분 | 고주파(RF) | 초음파(HIFU) |
---|---|---|
작용 원리 | 조직의 전기저항으로 열 생성(볼륨 가열) | 집속 초음파로 특정 지점에 열응고점 형성(포인트 가열) |
주요 타깃층 | 표피·진피 전반, 얕은 피하지방(방식에 따라 다름) | 진피 깊층, SMAS 등 선택된 깊이 |
체감/다운타임 | 대체로 편안한 편, MNRF는 일시적 홍반/바늘자국 가능 | 시술 중 따끔함/통증 가능, 표면 손상은 적음 |
강점 | 넓은 면적의 균일 가열, 결·탄력·모공 개선에 유리 | 깊은 지지층 타깃 리프팅, 윤곽 상승 효과 기대 |
적합 케이스 | 피부 탄력 저하, 잔주름/모공, 피부결 개선 | 처짐 개선, 턱선·볼 처짐 등 리프팅 중점 |
병합 전략 | RF로 결·탄력 기반을 보강하고, HIFU로 깊은 지지층을 조이는 레이어드 접근이 시너지에 유리 |
4) 선택 가이드 (실전 포인트)
- 피부 타입/이력: 민감·여드름흉터·모공 고민 → MNRF 고려. 홍반/회복 기간을 감수하기 어렵다면 비침습 RF/HIFU 위주.
- 처짐 정도: 윤곽 처짐이 뚜렷 → HIFU 비중↑. 결·탄력 저하/잔주름 → RF 비중↑.
- 통증/다운타임 선호: 편안함 선호 → 다극성 RF 계열. 확실한 리프팅 목표 → HIFU 집중샷.
- 예산·주기: 단독 고출력 한 번 vs 누적 저출력 다회기 — 생활 패턴과 스케줄에 맞춤 설계.
- 병합 설계: 동일 부위 동시 고출력은 피하고, 층·에너지·간격을 조절하여 안전성 확보.
TIP. “리프팅”과 “결·모공 개선”을 분리해 목표를 정의하면 시술 조합과 에너지 배분이 명확해집니다.

고주파 리프팅 — 시술명칭(장비명) 기준 정리
아래 목록은 한국 클리닉에서 널리 쓰이는 장비/시술명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 제조사·세부 모델·프로토콜에 따라 적용 부위/강도/체감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① 단극성(모노폴라) · 다극성 RF (비침습 타이트닝)
대표 시술/장비 | 특징 | 권장 포인트 |
---|---|---|
써마지 FLX | 모노폴라 RF로 넓고 깊은 볼륨 가열 → 콜라겐 리모델링 | 얼굴 전반 탄력턱선 타이트닝 |
엔디메드(EndyMed) 3DEEP | 다극성 RF로 균일 가열, 얼굴·목 타이트닝 | 편안한 시술감잔주름 개선 |
비너스 레가시 / 프리즈 | 멀티폴라 RF(+PEMF)로 순환·탄력 보강 | 부종·탄력목·볼 |
엑실리스(Exilis) Ultra 계열 | 모노폴라 RF 기반 타이트닝(※기종에 따라 초음파 보조) | 피부 타이트닝바디 탄력 |
액센트 프라임(Accent Prime) | 바이폴라/유니폴라 RF 조합(바디·페이스) | 얼굴·바디 라인 |
트리폴라/레전드 프로(Tripollar/Legend Pro) | 멀티폴라 RF 기반 타이트닝 | 전반 탄력 |
② 프락셔널/마이크로니들 RF (MNRF) — 모공·흉터+리프팅
대표 시술/장비 | 특징 | 권장 포인트 |
---|---|---|
포텐자(Potenza) | 니들 RF, 다양한 팁/모드로 진피 정밀 가열 | 모공·흉터탄력 |
모피어스8(Morpheus8) | 깊은 니들(최대 ~7mm, 기종별)로 진피·피하지방 타깃 | 턱밑·볼처짐결/탄력 |
시크릿RF(Secret RF) | 절연/비절연 니들로 진피층 에너지 전달 | 잔주름모공 |
인피니(Infini) | 니들 RF의 초기 표준 계열, 흉터·탄력 개선 | 여드름흉터탄력 |
스칼렛(SCARLET/S) | 니들 RF, 결·모공·탄력 다목적 | 결개선리프팅 보조 |
실펌X(Sylfirm X) | 연속/펄스 듀얼파 RF, 색소·결·홍조 이슈 동시 보완 목적 | 붉음증·모공탄력 |
엔디메드 인텐시프(Intensif) | 니들 RF, 피드백 기반 에너지 전달 | 잔주름탄력 |
이매트릭스(eMatrix) / 비너스 비바(Venus Viva) | 니들 없이 프락셔널 RF(서브레이티브/나노프락셔널) | 결·잔주름홍반 짧음 |
아그네스(AGNES) | 절연 미세침 RF로 피지선·눈밑지방 등 타깃 | 여드름·블랙헤드눈밑지방 |
③ 초음파 리프팅(HIFU) — 대표 시술명
대표 시술/장비 | 특징 | 주요 카트리지 깊이(예) |
---|---|---|
울쎄라(Ulthera) | 집속 초음파로 열응고점 생성, SMAS 리프팅 | 1.5 / 3.0 / 4.5 mm (부위별 특수팁 존재) |
울트라포머 3(Ultraformer III) | 다양한 샷·팁 옵션, 페이스/바디 카트리지 | 1.5 / 2.0 / 3.0 / 4.5 mm (+바디 6·9·13mm 등) |
슈링크 / 슈링크 유니버스 | 국내에서 대중적인 HIFU 라인업 | 1.5 / 3.0 / 4.5 mm (기종별 상이) |
더블로 골드(Doublo Gold) | 안면 리프팅 표준 HIFU 계열 | 1.5 / 3.0 / 4.5 mm |
리프테라(Liftera) | 선형·스탬프 모드 등 운용, 정밀 타깃 | 1.5 / 3.0 / 4.5 mm (기종별) |
울핏(Ulfit) | 페이스·바디 겸용 HIFU | 1.5 / 3.0 / 4.5 mm (+바디 카트리지) |
④ 고주파(RF) vs 초음파(HIFU) — 핵심 차이
구분 | 고주파(RF) | 초음파(HIFU) |
---|---|---|
작용 방식 | 조직의 전기저항 → 볼륨 가열 (넓고 균일) | 집속 초음파 → 열응고점 (지점·층 정밀) |
타깃 층 | 표피~진피·얕은 피하지방(방식/팁에 따라) | 진피 깊층·SMAS 등 선택 깊이 |
강점 | 결·모공·잔주름·전반 탄력 | 윤곽·처짐 리프팅, 턱선 |
체감/회복 | 편안한 편(니들 RF는 홍반·자국 가능) | 시술 중 따끔함, 표면 손상 적음 |
병합 전략 | RF로 결·탄력을 보강하고, HIFU로 깊은 지지층(SMAS)을 조여 레이어드하면 시너지↑ |
※ 특정 장비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. 동일 명칭이라도 세대/팁/프로토콜에 따라 효과와 체감이 다릅니다. 개인 상태·목표에 맞춘 시술 계획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세요.
고주파 리프팅 요약 내용- FAQ
고주파 리프팅이란 무엇인가요?
고주파 리프팅의 주요 장점은 무엇인가요?
고주파 리프팅 후 주의사항이 있나요?
다른 리프팅 시술과 무엇이 다른가요?
고주파 리프팅을 몇 번 받아야 효과적인가요?
※ 개인 상태·장비·프로토콜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시술 전 의료진 상담을 권장합니다.